Home > 가족&성인클리닉 > 우울, 불안, 수면, 신체화장애

우울, 불안, 수면, 신체화장애

우울, 불안, 수면, 신체화장애

우울장애

의욕저하와 우울감을 중요 증상으로 하여, 다양한 인지 및 정신 신체적 증상을 일으켜 일상 기능의 저하를 가져오는 질환입니다.

우울증, 즉 우울장애는 의욕 저하와 우울감을 중요 증상으로 하여 다양한 인지 및 정신 신체적 증상을 일으켜 일상 기능의 저하를 가져오는 질환을 말합니다.

우울장애는 평생 유병율이 15%, 특히 여자에게는 25% 정도에 이르며, 감정, 생각, 신체 상태 그리고 행동 등에 변화에 일으키는 심각한 질환입니다. 이것은 한 개인의 전반적인 삶에 영향을 줍니다.

우울증은 일시적인 우울감과는 다르며 개인적인 약함의 표현이거나 의지로 없앨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상당 수가 전문가의 도움을 받지 못하고 우울증으로 고생하는 경우가 많아 안타까운 질환입니다. 그러나 전문가의 적절한 치료를 받는다면 상당한 호전을 기대할 수 있고 이전의 정상적인 생활로 돌아가는 것이 가능합니다.

불안장애

현대는 불안의 시대라고합니다. 불안은 갑자기 이유도 없이 오기도 하는데 가슴이 두근거리고, 가만히 있기 힘들고, 혼자 있으면 왠지 무슨일이 생길 것 같으며, 남들이 신경쓰지 않을 일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이 장애를 갖고 있는 환자들은 안절부절못하고 짜증을 잘 내며 예민합니다.
또 닥치지도 않을 위험을 걱정하고 최악의 사태만을 상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신체적인 증상으로는 심박동 증가, 소화불량, 설사, 변비, 발한, 근육긴장으로 인한 두통, 불면증 등이 나타납니다.

이미지명

01

공포장애

특정한 대상이나 상황을 회피하는 장애로서, 공포의 대상과 상황에 따라 사회공포, 동물공포, 폐쇄공포, 고소공포 등으로 나뉩니다.

02

공황장애

반복적인 공활발작과 정신과민을 나타내는 경울 말합니다. 공황발작이란 급격한 자율신경 자극으로 인해 일어나는 현상으로 호흡곤란, 심박동항진, 흉부압박감, 질식감, 현기증, 졸도, 근육경련 등의 증상이 있습니다.

03

범불안장애

특정상황에 국한되지 않고 긴장 상태가 지속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뒷목이 당기듯이 아픈 긴장성 두통, 손떨림, 발한, 어지러움, 타는 듯한 갈증, 상복부 통증, 소화불량 등의 신체적 증상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04

강박장애

자신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강박적인 사고나 행동이 반복되는 증상입니다. 집을 나선지 한참만에 집안의 가스밸브를 잠그지 않은 것 같아 불안해 하다가 결국 집으로 되돌아가 확인하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됩니다.

05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축격적인 사건이나 사고를 경험한 후 심한 감정적 스트레스를 겪음으로 인해 나타나는 불안장애를 말합니다. 경험 후 약간의 시간 뒤에 찾아옵니다. 증상은 스트레스 발생시 나타나거나 심화되는 일반적으로는 우울, 조울, 불안, 집중관란, 환각, 환청 등이 발생하며 비슷한 경험을 피하려 하는 충동적 행동을 보이기도 합니다.

수면장애

수면의 연속성과 질에 문제가 있는 장애입니다. 수면장애는 주로 네가지로 구분됩니다.

이미지명

01

일차성 수면장애

일차성 수면 장애는 정신장애나 기타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 또는 물질과 아무 관련이 없는 수면장애입니다. 수면 곤란증이 이에 해당되는데, 수면 곤란증은 수면의 양이나 질, 또는 수면시간 조절에 이상이 있습니다.

02

정신장애 관련 수면장애

정신장애 관련 수면장애는 일반적으로 기분이나 불안과 같이 정신장애로부터 초래된 수면장애를 말합니다.

03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로 인한 수면장애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로 인한 수면장애는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가 수면, 각성계에 직적접인 영향을 주어 나타나는 것입니다.

04

물질이나 투약약물로 유발된 수면장애

물질이나 투약약물로 유발된 수면장애가 있습니다. 수면장애를 치료하기 위하여 삼환계 항우울제나 정신자극제 등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본인과 가족의 협력을 얻어 수면 습관을 조정하는 훈련을 실시하기도 합니다.

신체화 장애

아무런 내과적 이상 없이 다양한 신체 증상을 반복적으로 호소하는 질환, 신체화장애라고 합니다.
신체질환을 시사하는 신체적인 증상이 나타나지만 실제로는 신체질환이 아닌 심리적 요인이나 갈등에 의하여 나타난 것으로 판단되는 증후군입니다.

수년에 걸쳐서 다양한 신체 증상을 반복적으로 호소하지만 내과적으로는 아무런 이상을 반견하지 못하며, 심리적 스트레스가 주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0대 이전의 여성에게 자주 발병하며, 여성 100명중 1~2명에게서 나타납니다. 남성의 경우는 드물게 나타납니다.

원인은 뚜렷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가족력이 잇어서 환자의 어머니나 여자 형제 또는 딸에게서 일어나는 빈도가 10~20% 정도 되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또한 환자 개인이 책임져야 할 어려운 일을 당했거나 배우자에 대한 분노를 제대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 없는 등의 정신적, 사회적 요인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화자는 연극적이고 모호하고 과장되게 표현하는 경향이 있어서 여러 진단적 검사를 받게 되지만 이러한 증상을 뒷받침할 수 있는 신체적인 질환은 발결할 수 없다. 증상은 운동마비, 실명과 같은 신경과적인 증상을 비롯하여 복통과 같은 위장증상, 월경통, 불감증, 현기증 및 통증 등이 나타나고, 여기에 수반하여 불안장애, 우울증, 약물남용 등의 증상도 나타납니다.

보통 몇개월 동안 새로운 증상이 나타났다가 다음 몇개월 동안은 증사잉 약화되는 것이 특징이며, 점점 신체가 쇠약해집니다. 일단 이 증후군이 발생하면 증상이 전혀 없는 기간이 없습니다.

치료방법은 환자가 증상을 견딜 수 있도록 도와주고 감정을 제대로 표현하도록 배려하는 정신치료를 실시합니다.
특히 환자로 하여금 이같은 장애가 정신적인 원인에 의하여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이해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증상에 따라서 항불안제, 항우울제 등 약물을 투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